In Search of Her 여신을 찾아서(번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5-23 12:44 조회93회 댓글0건본문
*여신운동의 선구자 Christ, Carol P.(1945 ~ 2021)에 대하여
.여성주의 역사가, 신학자 , 작가이자 여신운동의 선구자.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 컬럼비아대와 하버드 신학대학원 등에서 교수로 재직.
-신학에서 여성을 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 여신운동의 선구자
("신학theology"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θεά (theá ,여신) + -logy에서 유래).
-여신학의 지침서 "Weaving the Visions: New Patterns in Feminist Spirituality" (1989)와 " Womanspirit Rising" (1979/1989) 공동 편집자. -그리스 여신순례 진행, 시인 사포의 고향인 그리스 레스보스섬에 거주하기도 함.
.여신학의 선두주자
1971년 미국 위스콘신주에서 첫 번째 여성 신학자회의에서 본격적으로 여성영성을 강조하며,기존 신학의 남성중심적 상징이 여성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문제 제기함, 자신의 종교적 견해를 " 내재적 포괄 일신교와 범신론"으로 정의함.
."Why Women Need the Goddess“
-여성에게 여신이 필요한 이유를설명한,여신학의 기초 논문.1978년 산타크루즈 대학교에서 열린 "위대한 여신 재등장" 컨퍼런스에서 기조 발표문,종교적 상징의 중요성과 특히 여성에게 미치는 남성적 신 상징주의의 영향에 문제 제기함.
-역사적으로 종교가 많은 여성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 남성신은 남성의 지배적인 신 표상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남성의 정치적,사회적 권력에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남성의 여성지배를 강화하는 역할을 함.
"남성 신 숭배에 초점을 맞춘 종교는 여성을 남성과 남성의 권위에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분위기'와 '동기'를 조성한다."
=> 그 결과 남성신을 내세우고 있는 기성종교들은 남성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여성을 그 아래에 두는 젠더 위계질서를 구축하고,여성들에게 이에 복종할 것을 강요함. 종교가 남성의 권위를 우선시하고 남성에 의해 통제되는 방식 때문에, 페미니스트신학자들은 가부장적 종교의 한계를 지적.
.여신 상징주의의 네 가지 주요 관점: 여성의 삶에서 여신이 필요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네 가지 관점.
a. 여성적 힘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격려하는 여신
-여신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자비롭고 독립적인 힘으로서 여성의 힘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것". 여성은 뛰어나고 독립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존재임을 스스로 인식하고, 더 이상 남성 구원자에 의존하지 않도록 함.
b. 여성의 몸
-여성은 월경을 하는 존재이자 출산의 주체이며, 여성의 몸은 자연과 우리 주변의 세상과 연결됨.가부장제는 여성의 몸에서 일어나는 월경을 부정적이라며 금기시하였지만 월경은 여성이 특권을 누리는 곳이자 여성이 지닌 생명을 주는 힘.
c. 여성의 의지
-여성은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고 생명을 불어넣는 존재로, 남성중심 사회에서 타인을 위한 배려나 희생 보다는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인식하고 자긍심을 가져야 함.
d. 여성들간의 유대감
-여성들의 유대감은 남성 권력이 방해하는데, 어머니와 딸, 동료와 직장 동료, 자매, 친구, 연인으로서 여성들이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하며 유대감을 강화해야 더욱 큰 힘을 발휘함.
===================================================================================
In Search of Her
여신을 찾아서
어린 시절, 한 번도 여신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지만, 나는 종종 그녀의 힘을 느꼈다. 할머니집의 노란색 침실에서 동생과 내가 잠이 들 때면, 그 지붕위에 둥지를 튼 공작새들의 괴이한 울음소리에서, 헌팅턴 해변에서 나를 덮치려는 파도에서, 샌게이브리얼 산속에서 하이킹을 할 때 떡갈나무와 잔가지들 사이에서, 칼라베라스 주립공원 검은 꼬리 사슴들이 고개를 돌려 나를 바라볼 때 그 젖은 눈망울 속에서,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올 때 나의 고무장화를 빗물로 가득 차게 만들었던 쏟아지는 빗속에서…….
나는 부모님보다 더 종교에 관심이 많았다. 일요일 아침, 부모님이 종종 늦잠을 자고 싶어 할 때, 나는 찬송가를 부르는 교회에 데려가 달라고 조르기도 했다. 교회에서 만난 하나님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처럼 지혜롭고 힘이 넘치고, 내가 잘 보이려고 애썼던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 재판관이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보시에 “고집 센 아이”여서 엄한 처벌을 받아야했지만, 결국은 용서받았다. 대학시절 나는 그런 유대인들과 나를 동일시했다. 나는 하나님에게 온전히 받아들여지고, 신을 이해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종교를 공부하기로 결심했었다.
대학에서 히브리어 성경을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예언자들의 이미지에 마음이 끌렸다. 구원의 날 나무들이 손뼉을 치고, 산과 언덕이 부르는 노래가 울려 퍼지는 이미지들 말이다. 그러나 이런 이미지들은 무생물에게 감정을 부여하는 것이라며, 한심하기 짝이 없는 감정적 오류의 한 예에 불과하다는 교수들의 설명을 들을 때 나는 그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예언자들의 이미지들이 인간이 자연과 공유하는 깊은 교감을 의미한다고 생각했다. 유대인 신학자 마틴 부버(Martin Buber)가 나무, 광물, 동물 말과 “나-너”(I-Thou)의 관계를 맺었다고 말할 때, 나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이해할 수 있었다. 왜냐면 나도 돌, 식물, 동물들과 특별한 연관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부버의 이런 면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교수들에 대해 나는 매우 실망했다.
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한 수년 후에, 나는 신의 전통적인 이미지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여성에 대한 신학자들의 말에서부터 나의 질문은 시작되었다. 신학자들은 여자는 몸이고 남자는 영혼이다; 여자는 살덩이이고 남자는 정신이다; 여자는 이성적인 능력이 부족해서 뱀에게 설득을 당했다; 여자는 자신의 열정을 억누를 수 없었기 때문에 유혹을 당한다고 말했다. 나는 여자였고, 이런 설명들 속에서는 아무리 노력해도 나의 특성을 찾을 수 없었다. 내 심성이 다른 사람들만큼이나 선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 몸이 유혹의 원천이라는 말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점점, 나는 아버지, 아들, 성령이라는 하나님의 이미지가 문제의 근원임을 깨닫게 되었다. 내가 무엇을 하든 간에, 나는 결코 “그의 이미지 안에” 있지 않을 것이다. 나는 내 자신의 여성 자아를 사랑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님 아버지를 찾았지만, 내 아버지와 대부분의 교수들처럼, “하나님”은 남자를 더 사랑하는 것 같았다. 나는 우리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으로 부르고, 하나님의 아들과 딸로 부르지 않는 한, 여성은 결코 가치 있는 사람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졌다. 더 이상 교회에 다니거나, 찬송가를 부를 수도, 기도할 수도 없었다. 그를 대체할만한,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도 없었기에, 나는 공허함을 느꼈다. 어느 늦은 밤, 내 안에 쌓여있던 분노가 터져 나왔다. 나는 하나님에게 소리쳤다. “당신이 스스로 아버지 신으로, 전쟁의 신으로, 우주의 왕이라는 이미지로 불리도록 내버려 두었기 때문에, 내가 얼마나 고통을 받고 있는지 아시나요.” 나는 고통과 외로움 속에서 오랫동안 흐느껴 울었다. 그런데 침묵 속에서, 어떤 목소리가 들렸다. “신은 너와 같은 여성이란다. 그 분은 너의 고통을 함께 나누고 있단다.”
1년 후 스타호크(Starhawk)라는 여성이 이끄는 워크숍에서 여신의 이름을 들었을 때, 나는 내 인생의 모든 경험들을 긍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녀는 여신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지구 어머니, 모든 것을 자라나게 하는 당신. 당신은 우리의 몸, 뼈, 세포이다. 여신은 공기다. 여신은 나무들 가운데서 부는 바람이며 파도 위에서 불어온다. 난로속의 불, 모닥불 속에서 타오르는 불꽃, 연기를 내뿜는 화산, 변형과 변화의 힘이다. 여신은 물, 생명의 원천, 강, 시냇물, 호수와 우물, 강처럼 정맥을 흐르는 피, 암소, 고양이, 올빼미, 두루미, 꽃, 나무, 사과, 씨, 사자, 암퇘지, 돌, 여자다. 여신은 우리 주변 세상, 자연의 순환과 계절, 마음, 신체, 정신, 내면의 감정들에서도 찾을 수 있다.”
여신의 이미지는 여성의 힘을 창조적인 생명의 활기로 묘사한다. 여신의 이미지는 우리가 자연의 신비, 탄생, 죽음, 부활의 순환에 함께 참여한다고 말한다. 예언가들이 사용하는 자연의 이미저리를 만날 때, 부버가 나무와 “나-너”로 소통할 때, 나는 본능적으로 여신을 직감했다. 내가 ‘신’에 대해 분노하며 대안으로 찾아 헤맸던 존재가 바로 여신이었다. 내가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여신은 내가 항상 알고 있던 바로 그 존재였다(중략).
.....
여신을 깨닫고 이 책을 쓰기까지 그 여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여신 이미지를 발견했을 때 여성 자아와 자연과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기뻤지만, 내가 물려받은 종교 공동체, 문화, 가족, 친구들, 가까운 동료들로부터는 점차 멀어지게 되었다. 체제 반항적인 딸들의 여행은 종종 외로웠다. 내가 조직하고 10년 이상 지속한 여성 영성그룹 “라이징 문”(Rising Moon)의 친구들, 많은 학생들, 내 작업에 대한 설명을 들었던 많은 이들을 통해, 내가 경험했던 여신의 힘에 대한 확신을 얻게 되었다. 고대 여신을 숭배했던 그리스에서 다양한 신비를 경험하고, 내가 올바른 길을 선택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하지만 깊은 내면의 직감에 귀를 기울일수록, 객관적인 목소리를 요구하는 학계에서 가르치고 쓰는 것이 더욱더 불편해졌다. 나의 강의는 종종 학생들에게 큰 변화를 불러 일으켰지만, 그들의 변화를 점수로 매길 수는 없었다. 내 경험과 사유의 관계를 글로 쓰고 싶었지만, 다수의 다른 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내 삶이 점점 긴장감으로 터질 것만 같아서, 결국 종신 교수직을 포기하고 그리스로 이사 갔다. 그리스는 여름방학마다 찾아가 그곳 바다에서 수영하고 실험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하던 곳이었다.
그곳에서 내가 찾고자 했던 것을 찾긴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즉각적으로 단시간에 찾은 것은 아니었다. 초기에는 너무나도 깊은 외로움을 느끼며 영혼의 어두운 밤, 일종의 통과의례와도 같은 시간을 보냈다. 그 시간동안 나는 여신의 존재를 의심했고, 글 쓰는 능력을 잃어 버렸고, 살아야겠다는 의지마저 거의 포기할 뻔했었다. 이제 그 시간은 지나가버렸지만, 그 당시 나는 깊은 고립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도무지 찾을 수 없었다.
어머니의 죽음으로 나는 문자 그대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었다. 임종 시 어머니는 나와 함께 하시길 원했다. 내가 어머니를 편안하게 돌아가시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친구들이 말했다. 나도 어머니와 함께 하고픈 마음 밖에 없었다. 어머니가 앓고 있을 때, 어머니를 향한 나의 사랑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렬했다. 내가 편지를 써서 마음을 열었을 때, 그녀는 나를 오라고 했다. 하지만 내가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니는 죽음에 저항하는 것을 포기했고, 죽음은 빠르고 쉽게 찾아왔다. 어머니가 마지막 숨을 거두셨을 때, 사랑의 거대한 힘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는 어떤 것이 그 방에 가득 차 있음을 나는 느꼈다.
나는 항상 충분히 사랑받지 못했다고 느꼈었다. 하지만 수많은 사랑의 그물망이 항상 내 인생을 둘러싸고 존재해왔음을 그 때야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 그 후, 나는 풍요로운 지구의 선물로 사랑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것은 진실로 내가 여신으로 알고 있는 힘, 모든 존재들의 힘이다(중략).
출처: Christ, Carol P(1998), Rebirth of the Goddess (Finding Meaning in Feminist Spirituality), Routledge, pp. 1-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