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성범죄 기술 대응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종교와젠더연구소 작성일25-03-18 14:41 조회21회 댓글0건첨부파일
-
딥페이크 성범죄 기술 대응 동향.pdf (885.0K) 0회 다운로드 DATE : 2025-03-18 14:41:42
본문
딥페이크 성범죄 기술 대응 동향
유재흥(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목차
1. 들어가며
2. 딥페이크 기술 동향
3. 나가며
1. 들어가며
가. 딥페이크 문제 현황
2024년 8월 텔레그램발 청소년 딥페이크 이슈가 우리 사회를 휩쓸었다.
청소년들은 소셜미디어 등에 서 쉽게 구한 친구나 선생님의 사진을 나체 사진과 합성해 음란 콘텐츠를 만든 후 텔레그램을 통해 공유 했다.
2019년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던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을 떠올리게 하면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사건 발생 직후 2024년 8월 22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딥페이크를 이용한 성적 허위 영상물을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나섰고, 같은 날 여성가족부도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영상물 삭제 지원 등의 피해 대응 계획을 밝혔다.
8월 27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은 ‘이번 사건은 명백한 범죄 행위’라며 디지털 성범죄를 뿌리 뽑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시큐리티히어로(Security Hero)라는 보안 업체가 2023년 딥페이크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95,820개의 딥페이크 동영상, 온라인 플랫폼의 85개 딥페이크 콘텐츠 전용 채널, 딥페이크 생태계와 연결된 100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딥페이크 동영상은 2019년 대비 550% 증가하였고 딥페이크 동영상의 98%는 딥페이크 포르노였다.
그리고 딥페이크 포르노의 표적이 되는 사람의 99%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놀라운 점은 딥페이크 포르노에 등장하는 인물 중 절반이 넘는 53% 가 한국 배우와 가수였다는 사실이다.
선명한 얼굴 이미지 한 장만 있으면 60초 분량의 딥페이크 포르노 영상을 제작하는데 25분도 걸리지 않으며 비용도 제로다.
딥페이크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지면서 국내의 딥페이크 성범죄 신고도 급증하고 있다.
딥페이크 성범죄와 관련된 경찰신고건수는 지난 2021년 156건에서 2024년 10월 기준 964건으로 5배 이상 늘었다.
출처: 젠더리뷰(2024 겨울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 20-27
https://www.kwdi.re.kr/publications/genderReviewView.do?p=1&idx=13274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