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종교 1984-2021 (1) 종교 현황 > 불교


불교

불교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1) 종교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종교와젠더연구소 작성일22-06-07 09:52 조회1,334회 댓글0건

본문

● 2021년 5월 18일(화) 공개 | 문의: 02-3702-2571/2621/2622
 

한국갤럽은 1984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 의식〉이라는 보고서를 필두로, 1989년, 1997년, 2004년, 2014년(5차 조사)까지 30년간 변화를 추적해 모두 단행본으로 펴냈습니다. 1980년대 당시는 특정 종교 단체나 기관의 종교 관련 조사만 간혹 있었을 뿐 전 국민 대상 조사 연구가 없었기에, 사회 공익 차원에서 시작한 자체 조사가 지금에 이릅니다.

 #종교에 관한 구체적인 조사는 거의 10년 주기로 해왔으므로, 6차 조사는 2024년쯤 진행 예정입니다. 그러나, 최근 종교 인구 급감과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에서의 인식을 기록하기 위해 올해 일부 항목만 발췌하여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를 〈종교 현황〉과 〈종교에 대한 인식〉 두 편으로 나누어 전합니다.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1) 종교 현황

/ 조사 개요
- 조사기간: 2021년 3월 18일~4월 7일
- 표본추출: 층화 집락 확률 비례 추출
- 응답방식: 면접조사원 인터뷰
- 조사대상: 전국(제주 제외) 만 19세 이상 1,500명
- 표본오차: ±2.5%포인트(95% 신뢰수준)
- 응답률: 32%(총 접촉 4,630명 중 1,500명 응답 완료)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 조사 항목
- 종교 인구 분포
- 호감 가는 종교
- (비종교인) 과거 신앙 경험, 종교를 믿지 않는 이유
- (종교인) 종교 활동 빈도: 종교시설 방문, 경전 독서, 기도·기원

요약
- 한국 성인 중 종교인 비율: 2004년 54% → 2014년 50% → 2021년 40%
- 20·30대 탈(脫)종교 현상 가속
- 종교 분포: 개신교 17%, 불교 16%, 천주교 6%
- 비종교인의 호감 종교: 불교 20%, 천주교 13%, 개신교 6%
- 비종교인 중 '호감 종교 없다': 2004년 33% → 2014년 46% → 2021년 61%
- 2014년 대비 종교인의 종교 활동 전반적으로 감소

조사 결과

'현재 믿는 종교 있다': 2004년 54% → 2014년 50% → 2021년 40%
- 남성보다 여성, 고연령일수록 종교 믿는 사람 많아
- 20·30대 탈(脫)종교 현상 가속

한국갤럽이 2021년 3~4월 전국(제주 제외)의 만 19세 이상 1,500명에게 현재 믿는 종교가 있는지 물은 결과 40%는 '있다', 60%는 '없다'고 답했다. 종교를 믿는 사람(이하 '종교인')은 남성(34%)보다 여성(56%), 고연령일수록(20대 22%; 60대 이상 59%) 많았다.

◎ 종교인 비율은 1984년 44%, 1989년 49%, 1997년 47%에서 2004년 54%까지 늘었으나 2014년 50%, 이번 2021년 조사에서는 40%로 줄었다. 2000년대 이후 종교인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청년층에 있다. 2004년의 20대 중에서는 45%가 종교를 믿었지만, 2014년 20대는 31%, 2021년 20대에서는 그 비율이 22%에 불과하다. 30대의 종교인 비율 역시 2004년 49%, 2014년 38%, 2021년 30%로 감소했다. 이러한 20·30대의 탈(脫)종교 현상은 종교 인구의 고령화와 전체 종교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__
종교 분포: '개신교' 17%, '불교' 16%, '천주교' 6%
- 불교는 고령층·영남 지역, 개신교는 청년층·이외 지역에서 상대적 강세

2021년 현재 한국인의 종교 분포는 개신교 17%, 불교 16%, 천주교 6%다. 연령별로 보면 불교인 비율은 20·30대 5% 내외, 40대 11%, 50대 이상에서는 25% 내외로 고령층에 집중되어 있다. 불교에 비하면 개신교인(50대 이하 10%대; 60대 이상 23%)과 천주교인(전 연령대 3~8%)의 연령별 분포는 상대적으로 고른 편이다.

◎ 종교 분포에는 지역별 특성도 있다. 불교인 비율은 부산/울산/경남(32%)과 대구/경북(24%)에서 높고, 개신교인 비율은 영남 이외 지역(2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대조를 이뤘다.

◎ 1984년 이래 불교인 비율은 16~24%, 개신교인은 17~21% 사이를 오르내리며 엎치락뒤치락했고, 천주교인은 매 조사에서 6~7%였다.




◎ 1984년(1차 조사)부터 2004년(4차 조사)까지는 연령을 만 18~24세, 25~29세, 30대, 40대, 50대 이상으로 구분했으나, 2014년(5차 조사)부터는 만 19~29세(이하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는 2010년 이후 우리 사회의 급격한 인구 고령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의 성인 인구에서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1985년 35%, 1995년 28%, 2005년 21%로 감소했고, 2014년 이후로는 20%를 밑돈다. 반면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5년 24%, 1995년 26%, 2005년 32%, 2014년 41%, 2021년 49%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 1984년 조사 당시는 성인 인구에서 2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사회생활 시작이나 결혼 등이 주로 20대에 이뤄져 초반과 후반을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출생률 저하로 20대 인구가 줄고, 평균 초혼 연령은 높아져 지금의 20대 초·후반은 과거보다 동질적이다. 한편, 60대 이상 인구는 계속 늘고 있어 2024년 6차 조사 즈음에는 60대와 70대 이상으로 세분 예정이다. 종교 관련 조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현재의 연령별 종교인 분포 차이뿐 아니라, 수십 년간 인구 구조의 변화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__
비종교인의 호감 종교: '불교' 20%, '천주교' 13%, '개신교' 6%
- 비종교인 중 '호감 종교 없다': 2004년 33% → 2014년 46% → 2021년 61%
- 종교인은 호감 가는 종교로 대부분 자신이 믿는 종교 답해

현재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이하 '비종교인', 902명)이 가장 호감을 느끼는 종교는 '불교' 20%, '천주교' 13%, '개신교' 6%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현재 종교 분포가 불교 16%, 개신교 17%, 천주교 6%라는 점을 고려하면, 비종교인의 천주교 호감도는 교세보다 높고 개신교 호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 할 수 있다.

◎ 비종교인의 호감 종교는 2004년과 2014년에도 불교-천주교-개신교 순이었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 종교에 대한 호감도는 모두 과거보다 하락했다. 비종교인 중 '호감 가는 종교가 없다'고 답한 사람은 2004년 33% → 2014년 46% → 2021년 61%로 늘었다. 한편, 종교인은 대부분(90% 이상) 현재 자신이 믿는 종교를 가장 호감 가는 종교로 꼽았다.




──────
비종교인, 종교에서 더 멀어져
──────

비종교인의 과거 신앙 경험: 2004년 43% → 2014년 35% → 2021년 25%
- 1984년 이후 매 조사에서 개신교 이탈자 가장 많아

비종교인에게 과거 신앙 경험을 물은 결과, 25%가 '종교를 믿은 적 있다'고 답했다. 즉, 비종교인의 75%(전체 성인 기준 45%)가 지금까지 한번도 종교를 믿은 적 없는 사람들이다. 비종교인의 과거 신앙 경험률은 1980년대 40%대에서 1997년 50%로 정점을 기록했고, 이후 감소세다(2004년 43%, 2014년 35%, 2021년 25%).

◎ 과거에 종교를 믿은 적 있는 비종교인(226명)에게 가장 최근 기준으로 어느 종교를 믿었는지 물은 결과 52%가 '개신교', 38%가 '불교', 11%가 '천주교'라고 답했다. 개신교는 다른 종교보다 청년층 대상 포교 활동에 적극적인 만큼, 신규 유입·단기 이탈자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과거 신앙 경험 비종교인 중에서 개신교를 믿었던 사람은 1984년 64%, 1989년·1997년 70%대, 2004년 59%, 2014년 68%, 2021년 52%다.




__
비종교인이 종교를 믿지 않는 이유: '관심 없어서' 1997년 26% → 2021년 54%

현재 종교를 믿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비종교인의 절반가량(54%)이 '관심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그다음은 '종교에 대한 불신과 실망'(19%), '정신적,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7%), '나 자신을 믿기 때문'(8%) 순이었다. '관심이 없어서' 종교를 믿지 않는다는 응답은 1997년 26% → 2004년 37% → 2014년 45% → 2021년 54%로 늘었다.




──────
종교인, 2014년 대비 종교 활동 전반적으로 감소
──────

주 1회 이상 종교시설 방문율: 개신교인 57%, 천주교인 42%, 불교인 1%

종교인(598명)에게 요즘 성당/교회/절 등 종교시설 방문 빈도를 물은 결과, '주 1회 이상' 32%, '월 1~3회' 14%, '연 3~5회' 9%, '연 1~2회' 25%, '몇 년에 1회' 9%, 그리고 전혀 가지 않는 사람이 11%로 나타났다. 종교인 열 명 중 세 명은 매주 종교시설을 방문하지만, 절반 정도는 잘해야 일 년에 한두 번 또는 아예 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 개신교인의 57%, 천주교인의 42%가 매주 교회나 성당을 간다. 불교인은 그 비율이 1%에 그치며, 64%가 연 1~2회 이하로 절에 간다고 답했다. 즉, 다수가 주간 의례에 참여하는 기독교와 달리 불교에서는 연간 참여가 더 보편적이라고 볼 수 있다.

◎ 1984년부터 2014년까지 종교인 전체 기준 매주 종교시설 방문율은 40% 내외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32%로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종교 모임·행사 금지 조치 여파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개신교인의 매주 종교시설 방문율은 2014년 80%에서 2021년 57%로, 같은 기간 천주교인은 59%→42%, 불교인은 6%→1%로 감소했다.




주 1회 이상 경전 독서자 비율: 개신교인 42%, 천주교인 35%, 불교인 3%

종교인 자신이 믿고 있는 종교의 교리가 실린 책이나 경전을 읽는 빈도는 '주 1회 이상' 25%, '가끔 생각날 때만' 35%, '전혀 읽지 않는다'가 40%다. 개신교인과 천주교인 열 명 중 서너 명은 매주 성경을 읽지만, 불교인 중에서는 66%가 불경을 전혀 읽지 않는다.




하루 1회 이상 기도/기원자 비율: 개신교인 37%, 천주교인 31%, 불교인 5%

종교인의 개인적인 기도/기원 빈도는 '하루 1회 이상' 23%, '주 1~3회' 20%, '월 몇 회 이하' 25%, '전혀 하지 않는다'가 32%다. 종교인 중 매일 개인적으로 기도/기원하는 사람 비율은 2000년 이전 약 40%, 2004년과 2014년 30% 내외, 2021년 23%로 줄었다.




◎ 주요 세 종교 중 개신교인의 매주 종교시설 방문자, 매주 경전 독서자, 매일 기도/기원자 비율이 가장 높다. 과거 조사에서도 개신교인의 종교 활동이 가장 활발했다. 그러나, 2014년과 비교하면 개신교인에서의 감소폭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이를 개신교인의 종교성 약화로 보기는 어렵다. 후속 질문에서 개신교인의 90%가 '개인 생활에서 종교가 중요하다'라고 답했고(→ G20210520), 2021년 지금은 코로나19로 종교 활동에 제약이 많은 상황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 이상의 조사 결과에 나타난 수치는 개인의 종교 생활 표층만 보여준다. 종교마다 나름의 종교적 성향과 실천 방식이 있으므로 어느 종교를 믿는가에 따라 외견상 신앙 생활도 다르다. 예컨대, 불교인이 절에 가는 빈도가 개신교인이 교회에 가는 빈도보다 적다고 해서 불교인의 종교성이 덜하다고 볼 수 없다. 개신교는 주일 교회 출석을 교인의 의무로 삼고 있으나, 불교에는 그에 상응하는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_____
응답자 특성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