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인도의 여성불교수행자의 출가의동기 : Therīgāthā와 그 주해서를 중심으로 / 이길주 > 불교


불교

불교

고대인도의 여성불교수행자의 출가의동기 : Therīgāthā와 그 주해서를 중심으로 / 이길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종교와젠더연구소 작성일20-09-28 23:55 조회2,661회 댓글0건

본문

고대인도의 여성불교수행자의 출가의동기 : Therīgāthā와 그 주해서를 중심으로 / 이길주

 

 

【요약문】
Ⅰ. 서론
Ⅱ. 본문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아래 출처 원문 초록중 일부 발췌함

 

본 연구는 출가 동기를 「능동적 출가」와 「수동적 출가」로 분류하여 여성수행자의 출가 동기를 사회적인 측면에서 분석했다. 「능동적인 출가」 동기로는, 붓다의 설법을 듣고 출가한 여성수행자들은 전통적인 바라문(승려계급)사회의 의례주의와 합리주의와의 대립, 사문(沙門)에 관한 보수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의 대립, 금전으로 여성의 가치를 재어 구혼하는 남성들의 배금주의 등을 언급하고 있는 반면, 「수동적인 출가」 동기로는 근친자의 출가, 어린이의 죽음과 약혼자의 죽음으로 인한 출가 등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여성의 자립을 용납하지 않으며, 여성을 성적대상과 출산의 도구로 여기던 당시의 여성차별에서 비롯된 출가 동기인 것이다.

 

 이처럼 능동적인 출가 동기에서는, 고대인도의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와 대립을 볼 수 있는데 반해, 수동적인 출가 동기에서는 당시의 여성들에게 불합리했던 사회적 규범으로 인해 겪을 수밖에 없었던 고통스런 경험을 볼 수 있다. Th? 의 여성수행자 73명중 「능동적 출가」는 34명으로 47%가 「수동적 출가」로는 39명인 53%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 비율은 고대인도의 여성들의 출가에는 사회적인 요인이 영향을 많이 끼쳤음을 보여준다. 남성수행자의 출가의 동기가 능동적이든지, 수동적이든지 그들이 읊는 시의 대부분은 교훈과 설법의 내용으로 사회지도자로써의 역할에 가치를 두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이와 같은 현상은 여성의 삶이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 한국여성철학회, 한국여성철학 제14권 (2010.1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76518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