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모신(地母神)의 등장과 붓다의 정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4-01-05 16:41 조회692회 댓글0건첨부파일
- 지모신의 등장과 붓다의 정각.pdf (1.1M) 0회 다운로드 DATE : 2024-01-05 16:41:14
본문
지모신(地母神)의 등장과 붓다의 정각
I. 서론
II. 지모신의 신앙
1. 지모신의 기원 (인도)
2. 불교의 지모신 신앙 (동남아시아)
III. 지모신의 역할과 붓다의 정각
1. 불교 문헌에서의 지모신
2. 지모신의 역할
IV. 결론
<초록>
약 1-2세기 무렵 불타전(佛陀傳)이 점차 체계화되면서 초기불전에서 볼 수 없었던 지모신(地母神)이 등장하여 붓다와 마라(Māra)의 대결 이야기는 더욱 생동감 있게 묘사된다. 그렇다면 붓다의 정각과 관련하여 초기 경전에서 볼 수 없었던 지모신이 왜 이후 제작된 경전들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 의문이 들게 된다.
인도 전통 신화에 따르면 대지의 여신인 ‘쁘리티위(Pṛthivī)’는 모든 중생을 포용하는 모성애적 특성을 지니며 수호신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 정통 힌두교의 ‘두르가(Durga)’와 ‘깔리(Kali)’와 같은 여신들의 근간이 된다. 인도 신화를 보면 여신만이 강력한 악마를 물리칠 수 있는 존재로 묘사되는데 모두 ‘어머니’로서의 여신이 강력한 힘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불교도들은 지금도 지모신과 관련된 의식과 신앙을 실천하고 있다.
불전에서 처음부터 지모신이 출현한 것은 아니다. 이 지모신의 등장 배경에 첫 시작을 알리는 문헌은 『마하와스뚜』(Mahāvastu)로서 아직 지모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지만 그 출현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후 더욱 정교해진 『방광대장엄경』이나 『불본행집경』에선 본격적으로 지모신이 직접 몸을 드러내어 엄청난 지진과 굉음을 일으킨다. 이에 마라가 공포에 사로잡혀 기절하지만, 지모신은 자비심에서 차가운 물을 뿌려 기절한 마라를 깨우고 도망가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즉 붓다에게 위해를 가하는 마라의 목숨까지 살려주는 행위는 불교의 자비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고, 이 또한 지모신의 역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들 불교 문헌들은 붓다의 정각이 가능하게 된 이유로서 그가 과거 생에 실천했던 무수한 보시행을 제시하였다. 후대 불타전 편찬자들은 붓다가 현생에서 오직 수행만으로 정각을 성취하기란 불가능하고 과거 생에서 무량한 공덕을 쌓은 덕분에 정각을 이룰 수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러한 공덕을 더욱 공정하고 강력하게 증명할 수 있는 존재로서 붓다 본인이 아닌 제삼자인 지모신을 내세웠고, 이것이 지모신이 경전에서 등장하게 된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출처: 도정태(동대 경주캠퍼스,불교사회문화연구원), 한국불교학,2021, vol., no.97, pp. 155-184 (30 page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