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쟁(和諍)의 해석학적 함의와 현대적 의미 > 불교


불교

불교

화쟁(和諍)의 해석학적 함의와 현대적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6-10 15:41 조회8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요약문>

한국 학계에서 원효의 화쟁은 주로 회통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본고에서는 이러한 이해는 원효의 문제의식과 해석학적 지향을 오독(誤讀)한 데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해석학적 관점에서 화쟁은 이설(異說)들에 대한 논평이거나 혹은 쟁론상황을 ‘해결 하는 이론이 아니다 지금까지 화쟁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원효를 눈뜬 자로서 장님들이 벌이는 쟁론상황의 해결사 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화쟁은 쟁론을 바라보는 제삼자 혹은 관찰자의 입장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화쟁은 쟁론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의 입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런 점에서 화쟁은 쟁론 참여자 모두에게 요청되는 실천철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원효 화쟁의 토대가 되는 개시개비(皆是皆⾮)의 해석학적 함의 에 주목 하고자 한다.복수의 옳음 을 의미하는 개시개비는 단 하나의 진리를 거부하는 현대의 다원적 사회에서 요청되는 세계관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진리의 다원성을 인정하는 개시개비의 화쟁 정신은 다원사회에서의 시민들의 생활양식 (modus vivendi)으로 그 의미를 확장해 가야 할 것이다.

조성택 ( Jo Sung-taek )  2020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93  207~234 (28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