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의 담론적 확장과 변주 > 종교


종교

종교

한국사회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의 담론적 확장과 변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5-13 14:51 조회1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한국사회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의 담론적 확장과 변주: ‘죄’에서 ‘종북 게이’, ‘중독’, ‘나쁜 인권’, ‘젠더 이데올로기’로

 

<초록>

 

이 글은 한국사회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을 그 담론적 확장과 변주의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봄으로써 보수적 대항운동의 한 가지 사례라 할 수 있는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운동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시도한다. 2000년대 이후 시작된 한국사회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은 2007년 차별금지법 발의, 2008년 군형법 제92조 추행죄 위헌 소송, 2011년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반대, 2014년 퀴어문화축제, 2017년 성평등 개헌 등 다양한 국면들을 통과하면서 지속되고 확장되었다.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은 동성애를 ‘죄’로 규정하는 성경적 근거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그 담론적 레파토리에서는 한국사회 극우주의와 보수주의의 오래된 이념적 근간인 반공주의에 대한 재활용에서부터 동성애 유전자 여부나 치료 가능성에 집중하는 성과학 담론, ‘인권’ 담론과 ‘(양)성평등’ 담론에 대한 전유와 재구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종교적 근거들을 활용하고 이를 종교적 담론과 혼용하거나 종교 담론의 하위범주로 배치하는 전략을 보여준다.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의 이러한 담론적 전략과 특징은 이들의 반동성애 실천이 종교적 범주를 넘어 시민사회적 차원의 대항운동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사회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은 또한 한국교회 및 사회 전체의 보수화를 추동하는 한편, 젠더 및 섹슈얼리티 정치학을 보수주의 대항운동의 중심 의제로 만들어나가고 있다. 

 

Ⅰ. 서론 

 

2000년대에 시작되어 지난 20여년간 계속된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은 다양한 담론적 자원과 수사적 전략을 활용하며 그 사회적 영향력과 대중적 호소력을 넓혀왔다.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담론은 종교나 성경적 근거에만 제한되어 있기보다는 의료, 과학, 법학, 정치 담론을 두루두루 활용하며 반공주의 담론의 재활용에서부터 인권 및 페미니즘 담론의 전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 있다. 차별금지법, 학생인권조례, 퀴어문화 축제 등에 반대하며 보수개신교 단체들에서 발표하는 성명서, 구호, 홍보물, 토론회 자료집 등을 살펴보면 “Homosexuality is Sin”이라든가 “창조질서 파괴하는 동성애”와 같은 종교적 담론 뿐만 아니라 “종북 게이”, “동성애 합법화 반대”, “동성애 독재 반대”, “동성애는 유전이 아닙니다”, “동성애는 치유 가능”, “남자 며느리, 여자 사위”, “나쁜 인권 NO”, “차별금지법 종교탄압법”, “양성평등 NO, 성평등 YES”, “여성이 위험해집니다” 등과 같은 반공주의 및 가족주의 담론, 성과학 담론, 정치 및 인권 담론, 보수적 여성 정체성에 기반한 안티 페미니즘 담론 등이 널리 혼용되고 있다.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에서 나타나는 담론적 확장과 변주는 또한 그 발화나 실천의 주체에 있어서도 ‘개신교인’의 범주를 넘어 ‘의사’, ‘교수’, ‘학부모’, ‘청년’, ‘시민’, ‘여성’ 등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동반하였다(Cho, 2011; Lee, 2021; 김현준, 2017; 이나영·백조연, 2017).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담론의 이같은 내용적, 실천적 특징은 이들의 실천이 성서무오설을 신봉하는 종교적 근본주의의 관점에 기반을 두지만 동시에 한국사회 보수우파의 오래된 반공주의 이념이나 전통적 가족질서는 물론 성과학이나 보건 및 의료 담론을 활용하고 나아가 인권, 헌법, 민주주의, 여성인권 등과 같은 기존에 ‘진보적’ 사회운동이나 정치집단과 연루되었던 담론들도 적극적으로 재전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종교적 맥락에서 정의된 ‘죄’를 ‘과학/의료’, ‘가족/재생산’, ‘건강/질병’, ‘도덕/범죄’, ‘민주주의/헌법’, ‘여성인권/안전’ 등과 같은 비종교적 담론으로 변주하고 확장하는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은 또한 이러한 담론적 전략과 실천을 통해 ‘혐오’ 프레임을 우회하고 반동성애 운동을 종교, 양심, 표현의 자유로 주장하고 또 수행한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20년간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한국사회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의 흐름을 특히 그 담론적 변주와 확장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본다. 아래에서 살펴보는 것처럼 한국사회 보수개신교의 반동성애 실천은 2000년대 이후 등장하여 차별금지법, 학생인권조례, 성평등 개헌, 퀴어문화축제 등에 대한 구체적 사안들과 국면들을 경유하면서 가시화, 조직화, 대중화되었다.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실천은 보수우파 정치학의 오래된 반공주의 담론을 재활용하면서 ‘동성애’를 가족, 민족, 국가, 교회의 적으로 규정하는 한편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 운동 및 사회정책 차원에서 수용되기 시작한 ‘인권’과 ‘여성/페미니즘’을 재전유하면서 성소수자 권리를 ‘인권’과 ‘페미니즘’ 으로부터 분리하는 담론적 전략과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담론적 전략과 실천 속에서 ‘시민’과 ‘교회’는 성소수자 인권운동의 ‘피해자’로 구성되는 한편, 보수개신교 반동성애 운동은 종교적 실천을 넘어 동성애로 인해 위기에 처한 가족, 민족, 국가, 교회를 지키는 대항적 사회운동으로 자리매김된다(중략)

 

출처: 김보명, 종교와 사회(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Vol. 12, No. 1 (2024): 141-187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