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송 35. 뛰어난 수행력으로 60명 비구를 아라한으로 만든 마띠까의 어머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6-11 11:50 조회77회 댓글0건본문
담마빠다 with 선일스님
게송 35. 생각을 다스리기 힘든 빅쿠 이야기
.마띠까의 어머니
-재가여성불자로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아나가미, 불환자)에 도달하신 분
스님들께 음식공양을 올리며 수행을 도움.음식은 모든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 필수 조건
-스님들의 도움으로 '신체 32부분 관찰 수행'을 함
sati: 신(몸)수(느낌)심(마음)법(담마) 각각에 대한 32가지 수행 , 호흡수행 첫번째가 호흡, 마지막도 호흡수행
-수행 결과 아나가미에 도달하고 네 가지 신통력 얻음
-한 비구가 자신의 생각을 미리 읽는 그녀에게 놀라 도망갔지만, 붓다의 가르침으로 다시 돌아와 수행하여 아라한이 됨
*마음 읽는 자(mind reader)의 대표적 사례
- 찌따거사, Citta gahapati, 대부호로 뛰어난 재가불자, 스님들께 공양을 베풂며 겸손하게 음식을 공양,
스님의 법담을 청하며 예를 다함.외도들의 잘못된 이해를 고쳐주고 전법
-붓다께서 그를 "최고의 설법자 우바새"로 칭송(AI)
"마음은 붙잡기 어렵고 경솔하여, 어디나 좋아하는 곳에 쉽게 머문다.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진정 훌륭한 것 잘 다스린 마음이 행복을 가져온다. “
.마음은 다루기 어렵고 가벼워: dunniggahassa - 제어하기 어렵고
lahu- 민첩한 => 순간순간 대상이 바뀌며 정지하지 않음, 제어하기 어렵고 민첩한(마음이)
.마음은 욕망에 따라 타락하고: yatta-kama (눈귀코혀몸맘) -nipatino(떨어지는, 쏠리는)
-욕망, 어리석음, 분노의 대상에 쏠리는 마음
-> 마음은) 욕망에 따라 타락하거나
-> 마음은) 원하는 곳으로 쏠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
.마음의 훈련(다스림)은 거룩해:cittassa damatho sadhu
- 무엇으로 마음을 훈련시키는가? sati사티와 viriya위리아
-훈련된 마음은 행복을 가져와: cittam dantam suhjavaham
=>조복된 마음은 행복을 가져온다. 조복된 마음은 열반을 향한 길이며 궁극적인 행복과 안락을 제공함
“The guarded mind brings bliss.”
“마음은 다스리기 어렵고 재빠르고, 좋아하는 곳에는 어디에든 내려앉는다.
이런 마음을 길들이는 것은 좋은 일이다. 길들여진 마음은 행복을 가져온다.“
*마음의 세 가지 빠알리어: mano, citta, vinnana
모두' 마음'과 관련된 용어지만, 그 쓰임과 의미에는 뜨렷한 차이가 있음
1) mano(마노)
- 심 心: 인식기관으로서의 마음
-어원: man(생각하다, 마음으로 헤아리다)에서 유래,
-기능: 여섯번째 감각기관(manindriya) 으로, 대상으로 인식하는 감각기능,
1~5는 색, 성향미촉 6-마노(법)을 인식하는 마음의 감각기관.
모든 감각에 조금씩 가므로, 마음의 문(입구), 문지기와 같은 역할
"마노는 법을 인식한다" 감각적 마음, 일종의 감각 기관
2. citta
-의식하는 마음, 또는 심적 상태
-기능:경험을 포괄적으로 인식하고 반응하는 주체, 또는 그때그때의 마음 상태,
가장 널리 쓰이는 '마음'이라는 일반적 개념으로, 수행이나 명상 등에 자주 등장함. 예) citta -bhavana(마음의 개발, 수행)
-역할: 욕망이나 분노, 믿음 등 정신적 상태를 반영(욕심많은 마음, 평온한 마음 등), 비정형, 유동적인 마음의 상태를 지칭함
-신수심법에서 심은 citta
3. vinnana
-식識, 의식적 앎, 인지
-어원 vi:쪼개서, 구분하여 아는 것
-감각대상이 나타날 때 발생하는 의식 작용 자체, 예)눈으로 대상을 보면 "파랑색"이라고 앎이 생겨남
-안식, 이식, 비식,...심식 등 6식
-눈, 물질, 윙냐냐(식) 이 세 가지가 항상 함께 따라와서 citta 마음이 생겨남
->곧바로 촉이 생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