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운당 만해 봉완의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용운당 만해 봉완의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08-06 17:41 조회25회 댓글0건

본문

만해아카이브연구소 학술대회 겸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제38회 집중세미나

 

용운당 만해 봉완의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오서요 당신은 오실 때가 되얏서요 어서오서요
 

우리 연구소에서는 만해아카이브연구소와 함께 “용운당 만해 봉완(1879~1944)의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오서요 당신은 오실 때가 되얏서요 어서오서요”라는 주제로 학술대회 겸 집중세미나를 준비하였습니다. 만해 봉완은 시인, 독립운동가, 선사로서 국권을 잃어버린 혹독한 시절에 나라와 민족을 뜨겁게 사랑하며 살았습니다. 그 뜨거운 사랑의 결실은 불후의 시집 님의 침묵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만해의 님의 침묵에 담겨 있는 ‘님’의 참다운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님’의 정의와 의미는 밝혀져 있습니다. 하지만 ‘님’에 대한 해석 작업은 오늘을 사는 우리가 들어야 할 멈출 수 없는 화두입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기조 발제로 “만해 정신에서 님의 침묵의 불교적 위상”, “‘님’의 탄생과 ‘님’을 위한 ‘법어(法語)들’”, “ 님의 침묵 전편 해설의 관점과 차이점”, “출간 100년의 님의 침묵 독자 확산 양상 연구”, “ 님의 침묵 정본화의 진전과 평가”, “ 님의 침묵 새로운 100년의 전망과 비전” 등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리 연구소에서는 개소 이래 불교와 불교학을 ‘국학’ 혹은 ‘한국학’, ‘인문학’ 또는 ‘인간학’의 정화로서 궁구해 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분황 원효(617~686)를 구심으로 삼고 동아시아 불교사상가들을 원심으로 삼아 만남과 대화를 마련해 왔습니다. 아울러 삼국유사의 인문학적 탐구라는 기획 아래 한국사와 한국불교사의 접점과 통로를 지속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색의 일환 위에서 이번에 소환한 용운당 만해 봉완은 한국사와 한국불교사를 새롭게 열어갈 희망이고 비전입니다.
 

우리 연구소는 만해의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통해 만해의 정신, 만해의 님, 님의 침묵의 전편 해설과 100년 동안의 변화, 정본화의 진전과 평가, 새로운 100년의 전망과 비전, 활자와 영상의 만남과 대화를 지속해 가려고 합니다. 만해는 전통의 불도유 삼교, 씨줄의 문사철종교예술, 날줄의 정경사문과학의 축을 가로지르는 ‘뜨거운 화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화두를 들고 자아를 세계화하고 세계를 자아화하여 국학 혹은 한국학을 보다 객관화하고 좀더 타자화함으로써 우리 학문의 깊이를 더하고 두께를 더하고자 합니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1. 일 시: 2025년 8월 22일(금) 13:00 ~ 18:00 

2. 장 소: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멀티미디어강의실 163호 

3. 주 최: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만해아카이브연구소 

4. 주 관: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주제별 발표 소개 ------------------------ 

(13:00-13:10) 개회사 _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축 사 _ 이창경 만해아카이브연구소 대표
 

(13:10-13:45) 

기조발제: 만해 정신에서 님의 침묵의 불교적 위상 _ 서윤길 (동국대 명예교수) 

축 시 : 님의 침묵 (시낭송 전문가)
 

제1부 

[사 회]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13:45-14:20) 

[발 표1] ‘님’의 탄생과 ‘님’을 위한 ‘법어(法語)들’ 

발 표 : 정효구 (충북대 국문과 교수) 

토 론 : 고영섭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14:20-14:55) 

[발 표2] 님의 침묵 전편 해설의 관점과 차이점 

발 표 : 박현수 (경북대 국문과 교수) 

토 론 : 이선이 (경희대 한국어학과 교수)
 

휴식: 20분 _ 송우주 (성악가&불자가수)
 

제2부 

[사 회]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15:15-16:00) 

[발 표3] 출간 100년의 님의 침묵 독자 확산 양상 연구 

발 표 :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소장) 

토 론 : 고운기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16:00-16:35) 

[발 표4] 님의 침묵 정본화의 진전과 평가 

발 표: 홍승진 (서울대 국문과 교수) 

토 론: 김춘식 (동국대 국문과 교수)
 

(16:35-17:10) 

[발 표5] 님의 침묵 새로운 100년의 전망과 비전 

발 표: 정치훈 (서울사이버대 외래교수) 

토 론: 조형래 (동국대 국문과 교수)
 

17:10~17:50) 

[종합토론]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17:50-18:00) 폐회사 _ 소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