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연포럼> 인간 상징화와 예외상태: 조선시대 ‘성스러운 인간’의 사례 > 학술정보


학술정보

학술정보

<한종연포럼> 인간 상징화와 예외상태: 조선시대 ‘성스러운 인간’의 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6-04-18 11:35 조회4,269회 댓글0건

본문

한종연: 인간 상징화와 예외상태: 조선시대 ‘성스러운 인간’의 사례
eoxkzmags.jpgfontS.php?body_no=3052918&pidx=139084999

월례포럼

2016년 4월 14일

ofb1j5nen.jpgfontS.php?body_no=3052918&pidx=139085017

`

   
                       * 일시: 2016년 4월 16일(토) 오후2시 
                       * 장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실

md-6.giffontS.php?body_no=3052918&pidx=139085029

발표자: 심형준 (서울대학교)

제  목: 인간 상징화와 예외상태: 조선시대 ‘성스러운 인간’의 사례
논평자: 김현주 (서울대학교)

발표요지

 
무의미한 사람들을 제외할 때, ‘다른 사람’은 판단 주체의 경험에 입각해서 해석되고 의미화된다. 타인에 대한 감각과 경험을 모두 그러모아서 ‘그 사람’을 떠올리지 않는다. 인상적인 부분으로 그 사람을 특징화해서 파악하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상징화는 대상 인식 처리의 기본적 과정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상징화는 어떨까? 특정 인물이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받는 경우 말이다. 개인의 수준에서 인지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을 사회적인 수준에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사회적으로 기념될 만한 ‘중요성’이라는 것이 사회적 질서 혹은 위기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러한 의미를 부여받은 인물들 중 일부는 생활에 밀착한 주술-종교적 영역에서 ‘신격’의 의미를 부여받는다. 본 논의를 통해서 이러한 사실들을 이해하는 것이 인간 상징화의 사회적 차원을 설명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md-4.giffontS.php?body_no=3052918&pidx=139085047

읽을거리


⊙ Till Mostowlansky and Andrea Rota, “A Matter of Perspective?”,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Advance Article. pp. 1-20.
⊙ Peter J. Brunlein, "Thinking Religion Through Things, "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Advance Article. pp. 1-35. 

Copyright By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0길 69-1(봉천동) :: 02-886-248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