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살려면 비구중심 프레임서 벗어나야”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불교 살려면 비구중심 프레임서 벗어나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6-02-29 13:39 조회5,046회 댓글0건

본문

“불교 살려면 비구중심 프레임서 벗어나야”

2월 25일 ‘1983비상종단 재조명’ 세미나서 한목소리

 
비상종단종책연구회(대표 이희선)는 2월 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1983년 비상종단 기억과 평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비구스님 중심 종단 운영 비판
1983년 전법사ㆍ교무금제 조명

“전법ㆍ종단운영 새 판 짜야”

“정화불사는 당위성으로는 맞지만 결과적으로는 불교세가 약해진 원인이 됐다. 비구ㆍ대처, 출가ㆍ재가자를 넘어 능력 중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불교 안만 바라보는데서 더 나가 이를 통해 세계적인 안목을 키워야 한다. 젊은 스님들과 재가자들이 힘을 모아 불교를 새롭게 해야 한다.”

1983년 미완의 개혁으로 평가받는 비상종단사태를 재조명하기 위해 열린 세미나에서 축사를 맡은 조계종 원로의원 암도 스님이 대중들에게 당부한 말이다.

줄어드는 출가자, 감소하는 불교신자 등 한국불교의 미래에 대한 위기신호는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비구승 중심의 정화불사 이념을 과감히 탈피하고 1983년 당시 추진한 다양한 개혁방안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비상종단종책연구회(대표 이희선)는 2월 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1983년 비상종단 기억과 평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축사를 맡은 조계종 원로 암도 스님은 “불교 안으로만 보면 미래가 없다”며 “광복 이후 제헌국회만 보아도 기독교 국회의원이 20여명에 불과하고 불자 국회의원이 120여명에 달했다. 비구ㆍ대처간 정화불사 후 불교가 많은 인재를 잃었고, 또 재가자들의 능력이 발휘되기도 힘들어졌다”고 지적했다.

암도 스님은 이어 “1983년 비상종단은 젊은 스님들과 재가자들이 법난 이후 쇠퇴해가는 불교의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나선 것”이라며 “당시의 다양한 혁신안을 다시금 살펴, 조계종이 살고, 한국과 세계를 위해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비상종단종책연구회 고문 성문 스님(종회의장)은 “비상종단은 해방 이후 처음으로 출재가 청년 불교도들이 한국불교 위기극복에 나선 사건”이라며 “하지만 당시의 스님들이 대부분 입적하고, 대중들에게서 잊혀져 가는 상황에서 이를 다시금 조명하고자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도 교육원장 현응 스님의 대독을 통해 “우리 종단은 위기의 상황에서 종도들의 개혁열망을 모은 ‘비상기구와 조치’라는 특별한 전통을 갖고 있다. 당시의 각종 불교개혁방안은 현재 종단의 미래개혁 지표 중 하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승석 동국대 불교학술원장의 ‘비상종단의 의미와 한계’, 박부영 불교신문 영남본부장의 ‘1983비상종단 개혁과 1994개혁 비교’ 등이 진행됐다.

먼저 정승석 학술원장은 “비상종단은 민주화운동기의 선구적인 결집체였다”고 의미를 부여하며, 특히 비상종단의 전법사 제도에 대해 주목했다.

정 불교학술원장은 “비상종단 관계자들이 예측한 것처럼 현재 출가자 수가 줄어드는 현실에서 출가자와 재가자의 중간단계 직책에 기존 승려들이 담당한 포교, 교화, 사찰종무행정 역할을 부여할 수밖에 없다”며 “비상종단의 전법사 제도 등은 대안을 승가 내부보다 출가와 재가의 연합에서 찾은 것에 더욱 의미가 크다”고 진단했다.

토론자로 나선 법응 스님은 “비상종단과 94년 개혁의 배경은 인사문제가 주원인이었다. 당시에도 종단운영이 참회와 감사기능에 충실했다면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특히 종단운영에서 인사 및 형벌권 행사의 독주를 막는 제도개선이 아직도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윤승용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소장은 “비상종단의 좌초가 급진적인 개혁에 의한 것도 있지만, 비구중심의 정화불사이념이 작용한 것이 컸다”며 “정화불사의 틀 외에도 새로운 불교 비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박부영 불교신문 영남지부장은 ‘1983비상종단 개혁과 1994 개혁 비교’를 통해 “비상종단의 개혁 흐름이 모태가 되어 94년 종단개혁으로 계승 발전했음을 들고 △전법사제도를 통한 사찰운영 △교무금제도를 통한 사찰관람료 수입 의존 재정 전환 △‘종단중진회의’ 등 협의체를 통한 종책과제 수행과 같은 당시 혁신안이 재조명될 가치가 있다고 지적했다.

불교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은 이에 대해 “종단 개혁은 출가승들의 이해와 정서를 온전히 반영해야 성공할 수 있으며, 당시 전법사 제도와 현행 출가법계제도 및 신도품계제도 등과의 연계성 고찰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무 중앙승가대 교수도 “사회발달에 따라 종교체계는 퇴색하고, 또 농촌과 비정규직, 탈북자 등의 소외나 배제 등의 문제가 갈수록 커져 갈 것”이라며 “불교가 지속 발전을 하려면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적극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출처:  2016.02.25 현대불교 노덕현 기자  |  noduc@hyunbul.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와 젠더연구소서울 중구 동호로24길 27-17 우리함께빌딩 3층Tel. 070-4193-9933Fax. 02-2278-1142

COPYRIGHT ⓒ 종교와젠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